자율주행차, 어디까지 왔을까? — 자율주행 등급 완전 정복

출퇴근길에 늘 마주치는 '첨단 차량들', 혹시 “자율주행차”도 눈에 띄시나요? 요즘 TV나 기사에서도 자율주행 관련 뉴스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죠. 그런데 과연 자율주행차는 얼마나 '스스로' 운전할 수 있을까요?

자율주행에도 단계가 있습니다. 미국 자동차공학회(SAE)가 정의한 기준에 따라 0부터 5단계까지 나뉘는데, 오늘은 그 등급별 차이를 깔끔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 

자율주행_등급

 


Level 0: 완전 수동, 우리가 늘 하던 그 운전

운전자가 모든 걸 책임지는 단계입니다. 차량이 능동적으로 도와주는 기능은 없고, 차선이탈 경고음이나 브레이크 경고음 정도만 있을 뿐이죠.

이건 그냥 전통적인 운전입니다.


Level 1: 운전 보조, 조금은 똑똑한 차량

이제 차량이 조향 또는 가감속 중 하나만 도와줍니다. 예를 들어 고속도로에서 일정 속도를 유지해주는 크루즈 컨트롤이 대표적입니다.

여전히 운전자는 핸들과 페달을 붙잡고 있어야 합니다.


Level 2: 부분 자율, 실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계

이 단계부터는 조향과 가감속을 모두 차량이 담당합니다. 다만 운전자는 계속 도로를 주시하고 있어야 하죠.
현대차의 HDA2, 테슬라 오토파일럿이 여기에 해당됩니다.

차가 ‘운전하는 척’은 하지만, 실제 책임은 사람에게 있습니다.


Level 3: 조건부 자율, 차량이 ‘실제’로 운전하는 구간

정해진 조건(예: 고속도로)에서는 차량이 모든 운전 상황을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합니다.
단, 차량이 “운전자를 호출”하면 즉시 개입해야 합니다.

“졸음운전 OK?” → 안 됩니다. 호출에 응답해야 하니까요.


Level 4: 고도 자율, 사람이 없어도 돌아간다

특정 조건과 지역에서는 운전자가 아예 없어도 됩니다. 차량이 모든 상황을 스스로 처리하죠.
단, 일반 도로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.

지정된 구역 내 로보택시가 여기에 해당됩니다.


Level 5: 완전 자율, 운전석도 필요 없는 시대

이제 차량에 핸들도, 페달도, 운전석도 필요 없습니다. 어떤 도로, 어떤 상황에서도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도 됩니다.
아직은 연구단계이며, 상용화는 몇 년 더 걸릴 전망입니다.

미래의 완전 자율차, 상상 속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


등급별 비교 한눈에 보기

등급조향/가감속도로 인식비상대응운전자 필요성
0 X 운전자 운전자 항상 필요
1 하나만 운전자 운전자 필요
2 둘 다 운전자 운전자 필요
3 둘 다 차량 운전자 조건부 필요
4 둘 다 차량 차량 필요 없음
5 둘 다 차량 차량 전혀 필요 없음

마무리하며

이제 자율주행차의 '등급'이 어떤 의미인지 조금은 감이 오셨죠?
우리의 일상 속으로 들어오고 있는 기술이 어디까지 왔는지 이해하고, 앞으로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