모든 항목 해설과 숫자 너머의 신호까지
“정상”이라는 단어만 보고 넘어가지 마라.
건강검진표는 단순히 현재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문서가 아니다.
미래의 위험을 예고하는 지도이자, 생활 습관을 점검하는 거울이다.
이 글에서는 건강검진표에 나오는 거의 모든 항목을 정리하고,
각 수치가 의미하는 바와 이상 수치일 때의 조치 방향까지 안내한다.
🧪 1. 혈액검사 항목
항목정상 수치의미 및 해석
공복혈당 (FBS) |
70~99 mg/dL |
혈당 상태를 확인. 100~125면 ‘당뇨 전단계’, 126 이상은 당뇨 가능성. |
HbA1c (당화혈색소) |
4.0~5.6% |
최근 2~3개월의 평균 혈당. 5.7% 이상이면 당뇨 전단계 의심. |
총콜레스테롤 |
< 200 mg/dL |
혈관 건강 지표. 높으면 동맥경화 위험 ↑ |
LDL 콜레스테롤 |
< 130 mg/dL |
‘나쁜 콜레스테롤’. 수치 높으면 심혈관 질환 위험 커짐. |
HDL 콜레스테롤 |
> 40 mg/dL |
‘좋은 콜레스테롤’. 낮을수록 심장질환 위험 ↑ |
중성지방 (TG) |
< 150 mg/dL |
높으면 간 기능 저하, 비만, 당뇨 위험 ↑ |
AST(GOT), ALT(GPT) |
< 40 IU/L |
간 기능 지표. 음주, 비만, 약물 복용 시 상승. |
감마-GTP |
남: < 73 / 여: < 39 IU/L |
술, 지방간 영향. 높으면 알코올성 간질환 의심. |
총단백질 |
6.3~8.2 g/dL |
영양 상태와 간, 신장 기능. 낮으면 영양 불균형 의심. |
알부민 |
3.5~5.2 g/dL |
간 합성 능력, 영양 상태 반영. 낮으면 간 질환 또는 단백질 섭취 부족. |
크레아티닌 |
남: 0.71.3 / 여: 0.51.0 mg/dL |
신장 기능. 높으면 신장 손상 가능성. |
BUN (요소질소) |
7~20 mg/dL |
신장 기능 + 단백질 대사 상태. 수분 부족시 상승. |
🩸 2. 혈압 및 심혈관 관련
항목정상 수치의미
수축기 혈압 |
< 120 mmHg |
높으면 고혈압 위험 (심장·뇌혈관 질환 연관) |
이완기 혈압 |
< 80 mmHg |
고혈압 기준은 130/85 이상 |
심전도 |
정상 리듬 |
부정맥, 협심증, 심근경색 조기 발견 가능 |
심박수 |
60~100 bpm |
안정시 과도한 빠른 맥은 심혈관 위험 신호 |
🧫 3. 소변 검사 항목
항목정상 수치의미
단백뇨 |
음성 |
양성이면 신장 손상 가능성 |
당뇨 (요당) |
음성 |
당 조절 문제 또는 고혈당 시 나타남 |
잠혈 |
음성 |
혈뇨 의심, 요로 결석이나 방광 질환 의심 가능 |
pH |
4.5~8.0 |
너무 산성/알칼리성이면 신장 문제 의심 |
요비중 |
1.010~1.030 |
수분 섭취량 반영. 너무 높거나 낮으면 탈수 또는 신장 이상 |
📷 4. 영상 및 진단검사
항목검사 방법확인 가능한 질환
흉부 X-ray |
엑스레이 |
폐렴, 결핵, 폐기종 등 |
복부 초음파 |
초음파 |
지방간, 담석, 신장결석, 췌장 이상 등 |
위내시경 / 위장조영 |
내시경 또는 조영제 검사 |
위염, 위궤양, 헬리코박터균, 위암 |
대장내시경 / 분변잠혈검사 |
내시경 또는 대변 검사 |
대장 용종, 출혈, 대장암 등 |
CT (선택 사항) |
전산화단층촬영 |
뇌, 폐, 간 등 정밀 진단 |
골밀도 검사 |
DEXA |
골다공증 조기 발견 |
⚖️ 5. 신체 계측 항목
항목기준의미
BMI (체질량지수) |
18.5~24.9 |
비만도 측정. 25 이상은 과체중, 30 이상은 비만 |
허리둘레 |
남: < 90cm / 여: < 85cm |
복부 비만 여부. 내장지방과 대사증후군 관련 |
체지방률 |
남: 15~25% |
높을수록 인슐린 저항성 증가 위험 |
💡 건강검진표 읽을 때 핵심 포인트
- "정상 수치" 안에서도 변화 추세에 주목하라.
– 전년도 대비 상승/하락은 경고 신호일 수 있음
- 연관된 항목끼리 묶어서 봐야 정확하다.
– 공복혈당 + 중성지방 + 허리둘레 → 대사증후군 여부
- 문제 수치는 생활 습관과 연결하라.
– 간수치 높음 = 술, 운동 부족, 체중 증가 등과 연결해서 해석